조직문화
-
이재현 대표 저서 안내변화를 만드는 메뉴판 2021. 2. 15. 22:58
2014, 도서출판 아르케, 190페이지 2014년 반디앤루니스 베스트셀러 선정 구매하기>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883984 모금의 비밀 재미있고 현실적인 현장의 사례가 집대성된 모금사례 모음집 모금교육은 왜 늘 적용이 어려운가에 대한 시원한 대답 현재 세계 최대 모금기관 UNITED WAY WORLDWIDE(연간 약 50억불 모금)의 국장인 저 book.naver.com 2017, 지식과감성, 263페이지 2017/2020 네이버 베스트셀러, 2017 알라딘 시민운동/NGO 분야 1위, 예스24 사회학 Top100 13주 관련기사> 조선일보 비영리 조직, 건강성에 대한 고민을 시작할 때 - 더나은미래 (futurechosun.com)..
-
(워크북) 원리를 이해하는, 건강한 조직문화 워크숍 과정컨텐츠 맛집의 자료실 2020. 10. 6. 21:37
NPO스쿨의 시그니처 컨텐츠인 시리즈의 Part2 의 프로그램을 안내해 드립니다. 워크숍은 '원리기반(principle-based)'의 시각으로 조직문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기업, 정부기관, 민간단체 등 다양한 형태의 조직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워크북은 이재현 대표의 출간서적 를 토대로, 2019년부터 정식 교육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더 깊은 이해와 해설을 원하시면 위 책을 참조하세요. 이론교육을 탈피하고, 조직문화에 대해 구성원의 참여를 통해 원리를 깨닫는 시간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이 강의안은 600회 이상의 워크샵이 진행된 내용으로 많은 기관의 검증이 되었습니다. 모든 과정은 모듈화되어 있어 선택이 가능합니다. 프로그램의 예시 모듈 과정 구분 주요 내용 ..
-
(워크북) 조직의 '내부갈등' 진단과 해법컨텐츠 맛집의 자료실 2020. 9. 7. 23:31
최근 조직의 내부적인 갈등문제로 상담과 컨설팅을 요청하는 조직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기업과 기관의 경우 수평적 문화에 대한 기대감, 디지털 혁신을 통한 급격한 업무환경의 변화, 세대 간의 격차 등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조직 내의 갈등이라는 이슈가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코로나의 장기화 등으로 더욱 힘든 양상으로 갈 수 있습니다. 항상 올고 그름을 판단해야 하고, 늘 각자의 의견이라는 것이 존재해야 하며, 그것을 주장하고 관철하는 과정 속에서 작은 상처와 감정적 찌꺼기가 발생하며 갈등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결국 개인이 감수하고 인내해야 하는 직업이라고 여기며 적절한 해결의 타이밍을 놓지다 보면 개인과 조직 모두 소진되고 맙니다. 무엇이 본질적인 문제입니까?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배우면 나아질..
-
(워크북) 건강한 민관협치 점검 지표(체크리스트 타입)컨텐츠 맛집의 자료실 2020. 4. 2. 00:55
전국적으로 민관협치, 주민자치, 참여예산 등 민과 관이 협력해야 할 일이 많아지고 있는 이 때, 민과 관의 협력이 얼마나 잘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기본 질문지표체계를 제작했습니다.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진 주체 간의 협력과 협업은 밀어붙인다고 해서 결과가 금방 나타나지 않습니다. 찬찬히 점검하며 어느 정도의 위치와 수준에 있는지를 공동으로 인식하는 데에서 출발합니다. 이때 제일 중요한 것은 서로서로 얼마나 좋은 질문을 던지느냐입니다. 감독과 비평을 위한 지표가 아니라 질문을 통한 대화의 촉진과 공통의 점검을 위한 질문으로 활용하세요. 민과 관의 주요 주체들이 함께 점검하며 협치버스를 공동으로 잘 운전해 가기를 바랍니다. #민관의 건강한 파트너십 #이해관계자 거버넌스 #협력의 조직문화를 위해 자료..
-
NPO스쿨을 왜 만들었나건강한 파트너 NPO스쿨 2015. 3. 26. 23:57
모든 사람은 똑똑하고 합리적입니다. 그런데 함께 모여서 일할 때부터 문제가 생깁니다. 불편해지고 갈등을 빚습니다. 혼자 살고 싶지만 불가능합니다. 맞습니다. 조직이란, 평생 풀어야하는 인생의 숙제와 같은 것입니다. 정답이 없으므로 죽기 전까지 고민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중요한 주제를 왜 학교에서는 가르쳐주지 않았을까요? 그 의문으로부터 NPO스쿨은 시작되었습니다. NPO스쿨은, 조직은 무엇이며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가를 고민합니다. 특히, 조직 건강성의 관점으로 조직문화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