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팩트
-
(체크리스트) 건강한 조직을 위한 조직 진단 지표컨텐츠 맛집의 자료실 2021. 5. 9. 20:14
조직진단, 뭐 없나?? "공익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의 전반을 점검하고 싶다면" "비영리조직을 종합적으로 진단하는 지표가 있다면" "미션과 비전을 중심으로 조직이 단단해질 수 있다면" 조직 자체를 종합적으로 진단하는 지표를 찾기란 의외로 어렵습니다. 지속가능성 지표, 임팩트 지표 등 영역별로 존재해왔고 그 중 하나만 제대로 적용하기에도 간단한 일이 아닙니다. 그나마 대부분 외국 자료라 우리 현장에 잘 맞지 않습니다. 조직의 모든 포트폴리오를 아우르면서도 간편하게 진단할 수는 없을까요? 항목의 우열을 판단하지 않고 고유한 특성에 대해 점검할 수는 없을까요? 우리 현장의 여견과 활동의 실정에 적합한 눈높이의 지표는 없을까요? 지난 컨설팅의 현장 경험을 통해 축적한 현장 이슈 기반의 진단지표입니다. 어렵지 않고 ..
-
이재현 대표 저서 안내변화를 만드는 메뉴판 2021. 2. 15. 22:58
1. 2014, 도서출판 아르케, 190페이지 2014년 반디앤루니스 베스트셀러 선정 관련기사> ▷경향신문 한국진출 국제비영리단체들은 왜 ‘거리회원모집’에 올인할까 - 경향신문 (khan.co.kr) 구매하기>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883984 모금의 비밀 재미있고 현실적인 현장의 사례가 집대성된 모금사례 모음집 모금교육은 왜 늘 적용이 어려운가에 대한 시원한 대답 현재 세계 최대 모금기관 UNITED WAY WORLDWIDE(연간 약 50억불 모금)의 국장인 저 book.naver.com 2. 2017, 지식과감성, 263페이지 2017/2020 네이버 베스트셀러, 2017 알라딘 시민운동/NGO 분야 1위, 예스24 사회학 Top1..
-
(가이드북) 공익활동 성과측정 가이드북컨텐츠 맛집의 자료실 2021. 1. 6. 17:06
성과측정에 참고할만한 사례를 찾는다면 그동안 공익활동에 대한 다양한 성과측정이 제기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쉽게 적용하기에는 늘 어려운 요인이 있었습니다. 임팩트 측정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란 어려운 일입니다. 주관적이지 않으면서도 현장의 성과를 가장 잘 증명할 수는 없을 것일까요? NPO스쿨은 그동안 행정안전부 주최의 정부부처 성과평가 교육, 서울시와 각 자치구 의뢰로 수행했던 성과평가 체계 연구 등 과거의 성과평가에 관련된 노하우를 간편하게 요약하여 하나의 가이드북으로 만들었습니다. 이 평가체계를 통해, 추상 수준에 머물러 있던 성과의 언어를 구체적인 데이터로 증명해보시기 바랍니다. 다운받기-> *본 자료는 대구광역시공익활동지원센터 연구사업을 NPO스쿨이 의뢰받아 완성한 결과물을 가공한 자료입니다.
-
이재현 대표 경력과 활동건강한 파트너 NPO스쿨 2015. 3. 26. 23:53
2015년 NPO스쿨을 창립하기 전 그는 몇 군데의 기관/단체에서 일했다. 1998년 시민단체를 시작으로 대기업을 거쳐 2009년부터 사회복지공동모금회(사랑의열매) 중앙회에서 국제협력담당자로 일하다 2010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미국 United Way Worldwide(세계공동모금회)의 합작으로 설립한 United Way Asia Pacific Learning Center(아시아태평양교육센터)에서 한국측 총괄 책임자가 되어 비영리조직 경영의 Global Standard를 한국 현장에 맞게 전파했다. 이어 2014년에는 유일한 한국인으로서, United Way Worldwide의 Director로 지명되어 아시아태평양교육센터의 초대 국장으로 일했고 이때 , 의 한국형 모델을 구상했다. NPO스쿨 설립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