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프로그램) 건강한 비영리경영스쿨컨텐츠 맛집의 자료실 2023. 3. 13. 14:16
국내 유일 프로그램.
'건강한 조직 시리즈'의 종결판
<건강한 비영리경영스쿨>을 안내해드립니다.한국사회에서 비영리조직의 경영을 본격화한 프로그램이 있나요?
비영리 영역과 소셜섹터의 역사가 수십년이 지났지만 의외로 찾기 어렵습니다.
지원과 육성의 시대를 지나 자생과 자립의 시대로 접어든 지금 더욱 필요한 내용입니다.
네, 비영리경영(Nonprofit Management)을
전체적으로 말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비영리조직의 전문가나 사회복지사가 말하기도,
경영학자가 말하기도 어려운 이유는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를 집대성하되
영리와 비영리의 균형감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과거 일부 비영리경영 프로그램을 보면 경영학의 분석기법 몇 개만 적용하고 그치거나
오로지 마케팅적 접근만 과도하게 강조하는 경도된 시도가 있었습니다.
혹은 기업의 경영기법을 무리하게 비영리조직에 이식하려는 반대편의 편향도 있었습니다.
비영리경영이론의 대전제는 비영리조직의 존재이유와 정체성이 어떤 특성과 범위를 가지고 있는지 정확하게 설명하는 시선에 있습니다. 영리와 비영리의 성 모두를 온전히 이해해야만 가능합니다.NPO스쿨은 이미 지난 9년 동안 비영리조직에 관한 각 분야를 말해왔습니다.
NPO스쿨은 이미 모든 포트폴리오를 이 블로그에 공개해 왔습니다.
이제 모든 내용을 하나로 묶어
<건강한 비영리경영스쿨>의 이름으로 제안드립니다.
이 과정이 포함하고 있는 포트폴리오는
조직의 사명과 전략, 거버넌스, 이해관계자, 성과평가, 재정과 모금, 조직문화 등
조직 운영과 조직 관리의 모든 것을 담고 있습니다.
그 대상은 환경, 인권, 젠더, 복지, 자원봉사, 문화예술 등 다양한 의제를 표방하는 비영리단체/기관부터,
대시민 공익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부처/지자체 담당부서/공공기관/위수탁기관/관설민영을 포함하여,
사회적경제조직, 기업재단, 기업사회공헌팀 등 비영리경영에 대한 전반적 소양이 필요한 곳입니다.<건강한 비영리경영스쿨>은
1. 사명 중심 경영
2. 사람 중심 경영
3. 원리 중심 경영조직을 모르면서 일만 하면 될까요?
경영자가 아니어도 경영을 알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진정한 리더십이란 조직을 이해하는 힘입니다.
● 프로그램(ver4.0) - 과목선택 가능
구분 과목 주요 내용 경영
필수
과정공익활동과
비영리영역현대사회와 공익활동
- 공익활동은 무엇이며 어디까지 공익활동일까? 시민운동 vs 공익활동의 차이는?
- 관점에 따라 명칭이 다른 비영리영역을 어떤 기준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
- 국가-시장-시민사회의 작동원리와 정부-기업-비영리조직의 관계는 무엇일까?우리사회의 비영리영역
- 시민사회? 제3섹터? 자발적 공동체? 이러한 세계관은 뭐가 차이며 유래가 뭘까?
- 미국, 영국, 일본 등 외국의 비영리조직은 어떤 기준이 있고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 NPO, NGO, CSO, CMO, CBO, PVO 및 사회적경제조직의 종류와 특성은?비영리조직의 변화와 미래
- 비영리조직과 사회적경제가 직면한 도전은 무엇일까? 내외부의 변화는?
- SDG, ESG, 엔데믹, 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시대가 비영리와 무슨 상관일까?
- 중간지원조직, 스타트업, 민관협력, 지역공동체가 비영리의 대안일까?사명과 전략 전략기획 개론
- 전략기획 프레임워크는 왜 경영전략의 핵심일까? 경영전략 vs 전략기획의 차이는?
- 비전하우스의 구성요소인 미션-비전-가치의 정확한 구분은 어떻게 될까?
- 미션, 비전을 아무리 숙지해도 내재화가 잘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기획 vs 계획?전략기획 방법론
- 사전 환경분석 과정을 통해 미션, 비전에 명분과 타당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 비전하우스를 사업과 연결하기 위해 중장기목표를 설정할 때 중요한 것은?
- 환경분석을 입체적으로 활용하여 조직의 기초전략을 개발하는 효과적인 방법은?직무와의 연결
- 비전하우스를 어떻게 정책활동-홍보활동- 모금활동으로 연결할까?
- 사명 중심 홍보 프레임워크의 구성은? 대중에게 말걸기 위한 메세징이란?
- 사명 중심 모금 프레임워크의 구성은? 잠정기부자와의 공감대 개발을 위한 '경작'이란?이해관계자와
거버넌스이해관계자 구조화
- 체어맨 조직과 프레지던트 조직으로 바라본 비영리조직의 독특성은 무엇일까?
- 비영리조직에서 흩어져있는 다양한 이해관계 집단을 어떻게 구조화할까?
- 우리조직이 사라진다고 가정할 때 아쉬워할 사람들은 왜 이해관계자와 일치할까?이해관계자 파트너십
- 이해관계자와의 건강한 파트너십, 줄 것은 무엇이고 받을 것은 무엇일까?
- 이용자-회원-후원자-봉사자 등 비영리조직 이해관계자의 맵핑 요령은?
- 이해관계자 파트너십의 사례, ESG경영과 애자일의 공통적 요소는?이해관계자 경영
- 정부/기업/비영리조직의 거버넌스의 유래는 무엇이고 언제 시작되었을까?
- 건강한 이사회의 역할과 책임의 원칙, '정책 거버넌스'의 현실적 적용은?
- 이사의 영입-이사의 활동-이사회 평가의 관리체계의 핵심은?인적자원과 리더십 인재상 수립
- 사명 중심의 인사규범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비전체계 기반의 인재상은?
- 사명 중심의 건강한 인재상과 인사업무란 무엇일까? HRM vs HRD?
- 사명 중심의 교육훈련체계를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평가 vs 피드백?인적자원 관리
- 인사관리(PM)와 인적자원관리(HRM)의 차이는 무엇일까?
- HRM & HRD이 통합된 비영리조직의 인사업무(HR)란 무엇이 중요할까?
- 채용-배치-훈련-평가-보상 등 사람중심의 인관리체계의 설정은?비영리조직의 리더십
- 현대 리더십의 5대 이론은 무엇이며 비영리조직에 어울리는 리더십은 무엇일까?
- 존경받는 리더의 공통요소는? 비영리조직 리더의 소통과 언어는 어때야 할까?
- 성장을 돕는 리더십과 사람이 성장하는 사람중심의 보상평가체계란?평가와 임팩트 평가 접근론
- 측정과 평가의 기준이자 토대인 사업정렬(align)표는 어떻게 작성할까?
- 목표-지표-성과의 인과적 관계와 이로부터 파생된 이론에서 무엇을 배워야할까?
- 원리기반/규칙기반 평가, 플랫폼기반/가이드기반 평가의 구분과 특성은?평가 방법론
- 성과관리론: MBO, BSC, KPI는 어떤 시사점을 비영리조직에게 제공했을까?
- 측정방법론: 로직모델, 변화이론, OKR을 비영리조직에 어떻게 활용할까?
- 건강한 조직의 평가측정 프레임워크란? 측정 vs 평가? Output vs Outcome?평가 보고서
- 지속가능성보고서의 특징, 구성, 사례는? 비영리가 적용할 지점은?
- 소셜임팩트보고서의 특징, 구성, 사례는? 비영리가 적용할 지점은?
- ESG보고서의 특징, 구성, 사례는? 비영리가 적용할 지점은?조직문화와
지속가능성조직문화와 조직체계
- NPO와 UFO가 지닌 의외의 공통점은? 비영리의 지구적 위기와 글로벌 트렌드는?
- 선한 집단은 왜 더 힘들까? 선한 집단엔 왜 더 갈등이 많을까? 갈등의 유형과 원인은?
- 조직을 체계화하면 할수록 왜 조직문화는 더 망가질까? 규칙기반 vs 원리기반?조직형태와 운영원리
- 수직적 조직과 수평적 조직을 구분하는 정확한 기준이 있을까?
- 규칙기반과 원리기반의 조직은 왜 수직/수평의 형태론보다 진보된 관점일까?
- Hierarchy(위계)의 반대말이 Horizontal(수평)이 아니라 Heterarchy(혼계)인 이유는?조직몰입과 욕구/결핍
- 조직만족도가 높아도 조직몰입도가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 만족 vs 몰입
- 인간의 두 언어, 입장과 욕구란 무엇일까? 욕구와 결핍, 감정의 관계는 무엇일까?
- 성격이란 바뀌는 것일까? 사회성이란 개선되는 것일까? 그 변화는 어떻게 가능할까?직무
선택
과정비영리 마케팅 기획
- 영리마케팅과 비영리마케팅의 관점은 결정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을까?
- 문제해결을 위한 문제정의, 이를 구조화한 기획의 특성이란 무엇일까?
- 문제를 함께 해결할 참여자를 특정하고, 타게팅을 설정하는 방법은?명분
- 문제를 함께 해결해야 할 이유를 제시하는 명분(Cause)의 설정방법은?
- 요청서와 제안서는 무엇이 다를까, 핵심은 말걸기, 그 비결은 무엇일까?
- 모금, 홍보 등의 직무과정에서의 적용은 어떻게 해야 할까?경험
- 맞춤형 전략을 세우는 경험(Customer Experience)의 설계 방법은?
- '요새 사람'들이 좋아하는, 먹히는 전략의 7가지 사례의 교훈은?
- 챗GPT, 미드저니, 미리캔버스 등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구체적 방법은?모금과 재정 기획
- 대중모금과 고액모금의 문법은 어떻게 다를까? 고액모금의 현재와 트렌드는?
- 모금의 본질은 무엇일까? 건강한 모금의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구성될까?
- 리더가 나서고 거버넌스가 함께 하며 직원이 서포트하는 협력적 모금모델이란?관리
- 금액 기준: 고액모금, 대중모금, 우리조직은 무엇을 선택해야 하며 그 판단기준은?
- 관리 기준: 명분/기획-실행/요청-예우/관리-평가/환류의 내용과 원리는?
- 행위 기준: 온라인모금, 거리모금, 계획기부, 캐피탈캠페인, 기업모금 등등등문화
- 모금가는 누구일까? 어떤 사람이 적임자로 어울릴까? 성격? 능력? 심리?
- 모금가의 성장환경과 금전관이 모금행위와 모금윤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까?
- 필랜트로피의 유래와 변천, 필랜트로피 조직문화가 모금의 궁극인 이유는?★어렵다구요? 실무자급, 중간관리자급, 관리자급/리더십그룹 여부에 따라 난이도가 조정됩니다.
★누가 듣나요? 비영리조직/공공기관/재단/협동조합/사회적기업/기업사회공헌부서에 적용 가능합니다.
#다양한 주제의 메뉴판
#김밥천국 아닙니다
#오마카세입니다
건강한 비영리경영스쿨 Official Brand ©2023 NPO스쿨 all rights reserved. #경영학교 #경영스쿨 #비영리조직경영 #비영리기관경영 #비영리단체경영 #운영 #npo #ngo #네이버 #npo스쿨 #이재현대표 #공익경영 #변화이론 #미션 #비전 #중장기목표 #중장기발전 #성과평가 #로직모델 #논리모형 #챗GPT #비영리경영 #조직문화 #nonprofitmanagement #사회복지 #자원봉사 #국제개발 #마을공동체 #네이버 #naver #시민단체 #환경단체 #비전수립 #비전수립 #미션비전 #비전미션 #재단 #공익재단 #기업재단 #재단법인 #종사자 #기업 #개괄 #종합 #조직관리 #조직운영 #리더십 #자원봉사 #종사자 #지도자 #공익활동 #사회적경제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NPO경영 #NGO경영 #NPO운영 #NGO운영 #경영학교 #경영스쿨 #운영관리 #조직운영 #조직관리 #공공기관 #공익재
'컨텐츠 맛집의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문지) 조직문화 진단 설문지 (0) 2023.03.12 (검사지) 조직을 향한 <내 마음 검사지> (0) 2023.02.26 (가이드북) 건강한 이사회 운영을 위한 가이드북 (0) 2021.06.28 (체크리스트) 건강한 조직을 위한 조직 진단 지표 (0) 2021.05.09 (매뉴얼) 미션비전 DIY 셀프 매뉴얼 (0) 2021.01.06